
지난번 포스팅에서 다뤘던 EPS에 이어서 본 포스팅에서는 'BPS(Book Value Per Share)'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EPS와 더불어 해당 기업의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BPS의 정확한 개념과 중요성 및 EPS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PS의 개념 BPS (Book Value Per Share)는 주당 자본잉여금을 나타내는 재무 지표입니다. 이번에는 BPS의 개념과 의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BPS는 기업의 자본잉여금을 발행된 주식의 수로 나눈 값으로, 주식 한 주당의 자본 잉여금을 나타냅니다. 자본잉여금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을 의미하며, BPS는 이 순자산을 주식 발행 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BPS는 ..

성공적인 주식투자를 진행하려면 먼저 주식에 관련된 용어에 대해서도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ER, ROE와 같이 기본적이지만 중요한 용어인 'EPS(주당순이익)'이 정확한 개념과 중요성 나아가 EPS를 활용한 투자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PS의 개념 EPS (Earnings Per Share)는 주당 순이익을 나타내는 재무 지표입니다. 이번에는 EPS의 개념과 의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EPS란 기업의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의 수로 나눈 값으로, 주식 한 주당의 순이익을 나타냅니다. EPS는 기업의 재무성과와 주주에게 분배되는 이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회계 기간 당 EPS는 순이익을 발행주식의 평균 수로 나눈 값으로..